복부 초음파 감별·진단 포인트

0.7cm 갑상선 저에코성 결절의 Trachea 접촉 소견: 침범 여부와 예후적 의미

by michael | 등록: 2025-08-29 17:45:55 공개
조회수 5
좋아요 0
싫어요 0
환자 정보 여성 / 50세
주호소 없음
검사 시행 이유 건강검진
임상진단 Both thyroid nodule
최종진단 Rt thyroid nodule(K-TIRAD 5), Lt thyroid nodule(K-TIRAD 5)
기타 코멘트
(1) Both thyroid nodules (2) Lt. thyroid nodule 0.7 × 0.8 × 0.6cm, irregular margin, hypoechoic nodule, invasion of thrachea & capsule

<Right thyroid>






<Left thyroid>




ChatGPT 증례 관련 판정 소견(정확한 임상적 판정이 아니니 판정시 참고만 바랍니다.)


증례 요약


  • 환자: 50세 여성
  • 검사 계기: 건강검진 중 우연히 발견
  • 초음파 소견:
    • 좌우측 갑상선에서 결절 관찰
    • 좌엽 병변 크기: 0.71 × 0.77 × 0.59 cm
    • 저에코성(hypoechoic) 결절
    • 불규칙한 변연(irregular margin)
    • capsule & trachea 침범 소견
  • 계획: FNA 예정
  • 질문: Trachea 침범 시 예후가 어떠한지?




해설 및 예후 관련 포인트


  1. Trachea 침범 여부의 의미
    • 갑상선암(특히 papillary carcinoma)에서 trachea 침범T4a 이상으로 병기(stage)가 올라갑니다.
    • 단순한 피막 인접(contact)과 실제 침윤(invasion)을 구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CT/MRI 병행 평가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.
  2. 예후적 측면
    • Trachea를 침범한 경우 locally advanced thyroid cancer로 분류되며,
      • 수술 시 기관연골 절제나 shaving, segmental resection까지 고려해야 합니다.
    • 국소 재발 위험이 높아지고, 수술 난이도 증가 및 합병증 위험도 동반됩니다.
    • 그러나 원격 전이보다는 국소 침윤에 의한 예후 악화가 주요 문제입니다.
  3. 실제 임상적 고려
    • 병변이 0.7 cm 수준으로 비교적 작지만, tracheal abutment vs invasion을 영상에서 구별하는 것이 핵심입니다.
    • 초음파에서는 tracheal cartilage의 음영이 깨지고 종양이 내강 쪽으로 돌출되는 경우 실제 침범 가능성을 의심합니다.
    • 만약 단순히 capsule trachea가 맞닿아 있는(contact) 정도라면, 침범으로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.




정리:


  • Trachea 침범이 확실하다면 예후는 stage T4a로 간주되어 고위험군으로 관리합니다.
  • 재발률이 높아지고 적극적 수술(기관 절제 포함)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  • 그러나 현재 크기가 1 cm 미만이므로, 진짜 침윤인지 단순 contact인지를 영상으로 명확히 감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.




1. 병변 특징


  • 크기: 0.7 cm 정도 (측정값 확인됨)
  • 에코: 저에코성(hypoechoic) 결절
  • 변연: 비교적 irregular margin
  • 위치: 좌측 갑상선 피막 인접, trachea와 맞닿아 있음
  • Color Doppler: 주변부에 혈류 관찰, central vascularity는 뚜렷하지 않음




2. Trachea 침범 여부 평가 포인트


  • 단순 접촉(contact):
    • 피막과 맞닿아 있으나 tracheal cartilage의 음영이 유지
    • posterior shadowing 없이 cartilage 곡선이 그대로 보이는 경우
  • 실제 침범(invasion):
    • cartilageechogenic line이 소실되거나
    • 결절이 tracheal lumen 쪽으로 돌출
    • cartilage에 불연속성이 관찰


👉 현재 이미지를 보면 cartilage 음영은 아직 유지되는 것으로 보입니다.
, "침범"보다는 capsular abutment, possible minimal indentation 정도로 보입니다.




3. 예후적 의미


  • 실제 tracheal invasion이 확실하다면:
    • AJCC staging T4a고위험군, 국소 재발 위험 증가, 수술 시 기관벽 부분 절제 고려
  • **단순 접촉(abutment)**이라면:
    • 아직은 T1b 범주 (크기 <1 cm, extrathyroidal extension 불확실)
    • 예후는 비교적 양호하나, 위치상 close follow-up 및 수술 시 margin 확보 필요




4. 권고


  1. FNA 시행은 타당합니다.
  2. 추후 CT 또는 MRItracheal cartilage integrity 확인 고려
  3. FNA 결과 malignancy → 수술 시 기관 피막과의 관계를 면밀히 확인




정리:
현재 영상에서는 tracheal cartilage line은 보존되어 보이고, "침범보다는 contact 가능성"이 높습니다.
예후는 "trachea를 실제 침윤하지 않는다면" 크기나 위치를 고려할 때 비교적 양호하며, 수술 시 margin 확보 여부가 중요 포인트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




📋 Case Summary


  • 환자: 50세 여성
  • 발견: 건강검진 중 시행한 갑상선 초음파
  • 소견:
    • 양측 갑상선 결절 존재
    • 좌엽 결절 ( 0.7 × 0.8 cm)
      • Irregular margin
      • Hypoechoic nodule
      • Capsule & trachea 접촉 → invasion?
    • 우엽 결절 ( 0.6 × 0.6 cm)
      • Hypoechoic, irregular margin
      • Microcalcification, punctate echogenic foci
  • K-TIRADS:
    • Rt. thyroid → K-TIRADS 5
    • Lt. thyroid → K-TIRADS 5
  • Plan: FNA 권고




🔎 Trachea 침범 여부 정리


  • 현재 보드 메모에 기록된 대로 좌엽 결절이 trachea & capsule과 인접
  • 초음파 영상에서는 cartilage line은 비교적 보존되어 보여 침범보다는 접촉 가능성(contact)
  • CT 보강 필요 시점




Conclusion (화이트보드 + 영상 종합)


  1. Rt. thyroid nodule (0.6 × 0.6 cm):
    • Irregular, hypoechoic, microcalcification → K-TIRADS 5
    • FNA 적응증 충족
  2. Lt. thyroid nodule (0.7 × 0.8 cm):
    • Irregular, hypoechoic, capsule contact with trachea
    • 현재는 invasion보다는 abutment 가능성
    • FNA 권고 + CT trachea invasion 여부 확인 필요
  3. Recommendation:
    • 양측 결절 모두 FNA 시행
    • Trachea 침범 여부에 따라 수술 범위 달라짐 (단순 contact → margin 확보 / 침범 확실 → partial resection or shaving 필요)




👉 원장님, 제가 원하시면 이 화이트보드 정리를 더 깔끔한 증례 요약 템플릿 (Case Summary Sheet) 으로 만들어드릴 수도 있습니다.
(
: Clinical info / US findings / Risk stratification / Impression / Plan 구조로)


그렇게 만들어드릴까요?


 


댓글 작성

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 하세요